세계경제포럼(WEF), 전 세계 141개국 사업가 12,879명 상대로 조사
[시큐리티팩트=이원갑 기자] 미국·영국 등 선진국 대열에 오른 나라들은 향후 10년 내 사업 활동 최대 리스크로 '사이버공격'을 꼽았다. 반면 한국은 '실업 및 불완전 고용'을, 일본은 '자연 재해'를 사이버공격보다 더 두려워했다.
지난 6일 세계경제포럼(WEF)이 전 세계 141개국 12,879명의 사업가를 상대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 내 국가별로 사업 활동의 최대 리스크 5가지를 묻는 질문에 선진국이 다수 포함된 북미·유럽 지역은 '사이버공격'을 최대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반면, 한국·일본·중국 등이 속한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최대 위험요인은 '자연 재해'였고 '사이버공격'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자연 재해의 사례로 지난해 인도네시아를 강타한 지진 및 쓰나미와 일본의 대홍수를 언급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실업 및 불완전 고용'을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기상이변'과 '인간이 만든 환경 재해'가 각각 2위와 3위에 올랐으며, '사이버공격'과 '국가 간 분쟁'은 공동 4위를 기록했다.
앙골라·말라위·보츠와나·카메룬·가나·케냐 등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나라들이 최대 리스크로 꼽은 '실업 및 불완전 고용'은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한국과 브루나이가, 유럽에서는 스페인이 유일하게 1위로 꼽았다.
향후 10년 내 사업 활동 최대 리스크를 묻는 이번 조사에서 전 세계 평균은 '재정 위기'가 1위를 차지했으며 '사이버공격'과 '실업 및 불완전 고용'이 2위와 3위로 그 뒤를 이었다. 미국·영국·캐나다는 '사이버공격'과 '데이터 사기 및 절도'를 각각 1위와 2위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