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4 (목)
 
도로대화구.png
 
▲ 좌측 KM180 도로대화구 폭파킷(Cratering Demolition Kit) 등을 이용해 도로를 폭파한 우측장면 [사진제공=국방부]

대성산 계곡 2천평 하늘엔 은하수 등 수 많은 별들이 수고했다고 격려…..

‘군단 동계작전준비 시범’을 창의적으로 준비하여 성공적 개최

어제, 오늘, 내일도 통하는 별보고 영어하는 근무는 성공의 지름길

[시큐리티팩트=김희철 칼럼니스트]

인생에 있어 훌륭한 스승을 만나는 것은 성공의 첩경이다. 필자가 초급장교로 대대교육장교로 근무할 때 사관생도시절 훈육관 송영근 중령(전 기무사령관/국회의원)을 지휘관으로 모시며 군생활의 기본을 다졌다.

당시 대대장은 영어에도 능통하여 연합사에서 고위 방문객이 오면 사단에서는 당연히 대대작전지역으로 안내하여 작전계획과 전투준비를 설명하게 유도했다.

가을이 다가오자 군단에서 동계작전준비 시범을 보이라는 지시가 사단으로 떨어졌고 자연스레 필자가 소속된 송영근 대대가 그 책임을 맡았다.
사실 겨울이 다가오면 전방 부대원들은 몹시도 바빠진다. 당시에는 생활관 창문이 허술해 비닐을 구입하여 문풍지를 발라 혹한의 추위에 대비하고 난방용 베치카에 사용할 조개탄 등 석탄도 창고에 쌓아 저장해야 한다.

또한 눈이 내리면 도로 개통을 위해 산에서 싸리를 채취해 빗자루를 만들고 넉가래도 추가로 제작한다. 특히 격오지는 차량 진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겨울내내 먹을 식량과 유류도 미리 공급받아 비축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만약 동계에 북한군이 침투하거나 남침전쟁을 재발하면 막아낼 수 있도록 경계진지에 보온 발판을 준비하고 주요 접근로에 지뢰공(겨울에 땅이 얼기 때문에 미리 구멍을 파놓고 짚이나 병으로 채워 놓는 것)을 중대별로 수백개씩 설치하는 것도 만만치 않다.

특히 도로에 큰 웅덩이가 패어 있다면 자동차는 물론 전차나 장갑차 등도 계속 앞으로 나가기가 쉽지 않다. 비행장의 활주로에 패어 있다면 항공기는 당연히 이·착륙할 수 없다.

이처럼 도로나 비행장 등을 이용하려는 적의 기동을 ‘차단’하거나 ‘거부’하기 위해 폭약(폭탄)으로 만든 웅덩이를 대화구(大火口, 분화구, Crater)라 하며 이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동계작전 준비였다.

그날도 대대장과 작전장교와 함께 실물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여 어떻게 효율적으로 많은 인원들에게 설명을 할 것인가에 대해 토의를 했다. 어느덧 자정이 넘어 다음날 일과도 고려해 일단 퇴근하기로 했다.

피곤함이 양어깨를 짓누르지만 부대 옆에 있는 관사를 향해 같이 걸어나오며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니 대성산 계곡 2천평 하늘엔 은하수 같이 셀 수 없는 많은 별들이 수고했다고 격려하는 것 같았다.

 
겨울.png
 
▲ 좌측 동계에 근무중인 GOP 초소와 보급로상에서 넉가래와 빗자루(필자근무시에는 싸리빗자루)로 제설 작업하는 모습[사진제공=국방부]
 
일단 시범준비를 하여 대대장은 사단장께 계획보고를 했고 잘 준비했다는 칭찬을 들었으나 왠지 배가 고팠다. 사단보고를 마치고 다시 얼굴을 맞대고 고민을 했다. 보다 창의적인 무언가가 필요했다.

결국 ‘도로대화구 설치킷’을 준비하기로 했다. 도로대화구를 설치하면 전선이 도로에 노출되어 장갑차들이 통과하면 절단되어 기능을 발휘 못할 수도 있었다. 여기에 착안하여 철파이프를 준비하여 사전에 전선을 넣고 매설하면 절단을 방지할 수 있었다.

시범당일 많은 인원들이 모였다. 인접 사단장을 비롯해 모든 지휘관 참모들이 두눈을 반짝거리면서 지켜보았다. 지금은 대형스크린이 있어 빔으로 쏘면 충분히 볼수 있었으나 당시에는 돌림판을 이용하여 전지 3장을 붙여 큰 글씨로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준비했다.

대대장의 브리핑을 하면 화면을 돌려 다음화면이 나오게 하고 현화면을 설명하는 동안 뒤에서 설명이 끝난 자료를 제거하고 새판이 나오도록 해야하는 일은 필자의 몫 이었다.

브리핑이 끝나고 전시물을 관람할 때에는 정말 흐뭇했다. 매년 연중행사로 반복되는 시범이 아니라 동계작전 및 전투준비를 고민하고 ‘도로대화구 설치킷’을 최초로 창안하여 제시한 것이 대히트였다.

인접 지휘관들은 부하들에게 시범과 똑같이 동계작전 준비를 하라고 지시하는 모습에서 밤하늘 별을 보면서 치밀하게 준비했던 보람을 느낄 수 있었고 보다 창의적으로 착안하는 송영근 대대장의 혼신의 노력에 존경심을 같게 했다.

YTT(yesterday, today, tomorrow)어제, 오늘, 내일도 통하는 별보고 근무하며 최선을 다하는 자세와 영어도 잘하는 능력은 성공의 지름길임을 확인하는 순간이었다.
내사진.png
 
 
 
육군본부 정책실장(2011년 소장진급),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비서관(2013년 전역),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2014~‘17년), 현재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 겸임교수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알에이치코리아, 2016)
태그

전체댓글 0

  • 6668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사용설명서](45) YTT(yesterday, today, tomorrow)에도 통하는 별보고 영어하는 능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