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2-10(화)
 


유엔세균전qosvmfflxm.png
▲ 미군은 인정하지 않았지만 한반도 상공에 세균에 감염된 곤충을 대량 살포했다고 주장하는 니덤보고서와 당시 밴플리트 및 클라크 대장 모습 [사진=연합뉴스/전사편찬연구소]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중공군 5차 공세 이후 중공군이 보병을 이용한 기동전을 포기하고 한국전쟁 중후반부터 치열하게 벌어졌던 고지전에서 야음을 틈타 공격준비사격 후 축차 투입으로 일관하게 된 것도 밴플리트가 펼친 화력공세의 효과가 어느 정도였는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하여간 불리한 머릿수를 그에 상응하는 화력으로 보완해 전황을 유엔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이끈 점을 인정받은 미 8군사령관 밴플리트 중장은 1951년 7월31일 드디어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잠시 공석이 된 유엔군사령관직도 겸임한다. 


그는 여세를 몰아 1951년 중반에 전선을 평양~원산 선까지 밀어붙이는 ‘맹조의 발톱 작전’을 하고 싶어했으나, 이미 6.25남침전쟁이 장기화되는 것을 우려하고 휴전회담에 돌입한 미군 수뇌부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한다. 


대신 밴플리트는 제한된 목표에 한해 '전투정찰' 명목으로 유리한 전선 확보를 위한 일련의 작전들을 기획한다. 이 작전 과정에서 양구 해안분지(펀치볼) 일대의 펀치볼 전투, 가칠봉 전투 등이 전개돼 많은 희생을 무릅쓰고 승리하게 된다. 


이외에도 밴플리트는 소타격 작전계획(Plan Cudgel), 대타격 작전계획(Plan Wrangler), 해시계작전(Operation Sundial) 등을 기획하여 전선을 북으로 더 밀어붙이려 하였으나, 1951년 10월25일에 휴전회담이 재개되면서 유엔군 사령부 명령으로 모두 취소된다.


하지만 밴플리트의 공세적 작전으로 당황한 중공군과 북한군은 미군이 한반도 상공에 세균에 감염된 곤충을 대량 살포했다고 비난하는 심리전을 전개하며 유엔군 지휘부를 흔들어 군사작전과 정전협상에 영향을 주었다.

 

이와 관련, 2015년 미국에서 공개된 니덤보고서는 당시 중공군 자료를 바탕으로 미군이 세균전을 펼쳤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은 이를 부인하고 있으며, 옛 소련 문건에서도 '미군 세균전' 주장은 "잘못된 정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유엔클라크밴테일러.png
▲ 좌측부터 6·25 남침전쟁 정전협정에 조인한 유엔군 사령관 클라크(1952년 5월~1953년10월)대장과 미8군사령관 맥스웰 테일러 중장 모습 [사진=전사편찬연구소]


6·25 남침전쟁에서 맹활약한 유엔군사령관을 포함한 미군 현역장성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1952년 5월에 클라크( ~1953년 10월) 대장이 4번째 유엔군 총사령관으로 부임하면서 밴플리트는 8군 사령관직을 계속 수행했다. 


이후 대규모 공세가 불가능해지자 밴플리트는 한국군의 양적,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한국군의 문제점을 "우수한 장교 인력 및 사단급 이상의 대규모 군사훈련의 부족"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1951년 10월  경상남도 진해에 육군사관학교 건물을 신축하여 한국군의 정예화를 꾀했다. 또한 야전훈련사령부 (FTC : Field Training Command)를 운용했고, FTC 구성 인원들의 열정 덕택에 한국군만을 위한 강의계획과 교범, 훈련 번역서를 제작하는 등의 노력으로 정예화된 12, 15, 20사단을 비롯한 총 12개 부대가 창설됐다. 


결과적으로 한국군의 재건은 미 8군 사령관 밴플리트와 그가 만든 FTC에서 시작되었으며 따라서 밴플리트는 '한국군의 아버지'라고 불리고 있다.


이후 아이젠하워 미대통령의 사관학교 동기인 밴플리트 대장은 1953년 1월 말 미 8군사령관의 직위를 맥스웰 테일러 중장에게 넘겨주고 미국 본토로 돌아왔으며, 2달 후인 3월에 전역하여 38년간의 군 생활을 마무리했다.


4번째 유엔군 총사령관인 클라크(1952년 5월 ~1953년 10월) 대장은 6·25 남침전쟁 중 가장 장기간인 17개월 동안 중공군 공세와 맞서 유엔군을 지휘했으며 최종적으로 정전협정에 조인했다.


한편 필자는 6·25 남침전쟁사를 집필하면서 전쟁에서 맹활약한 유엔군사령관을 포함한 미군 현역장성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존경심을 갖게 됐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아들 존 소령은 미3사단 대대장으로 낙동강 전투에 참전했고, 불의의 교통사고로 순직한 미 8군사령관 워커 장군의 아들 샘 대위는 중대장으로 참전했다. ‘한국군의 아버지’로 불리며 이승만 대통령이 하와이에서 서거(‘65년 7월19일)했을 때 유해를 모시고 한국에 올만큼 한국을 사랑했던 밴플리트 대장의 외아들 지미 대위도 순천폭격 비행 중에 실종됐다


또한 유엔군사령관 클라크 대장의 아들 빌 대위는 미9군단장 무어 장군의 부관이었으나 일선 소총 중대장으로 자원했다. 그는 ‘단장의 능선’ 전투 등에서 부상을 입고 소령으로 진급하였지만 부상의 후유증으로 끝내 사망했다. 미 해병 1항공 사단장인 해리스 소장의 아들인 해리스 해병 소령도 장진호 철수작전을 지휘하다가 전사했다.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미군 현역 장성 아들 142명이 6·25 남침전쟁에 참전하여, 이 가운데 35명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헌데 이렇게 피를 흘리며 지켜낸 자유 대한민국은 최근 고위공직자 자녀들의 군대 특혜 또는 회피와 대학 부정입학 등을 비롯해 국회의원들을 포함한 일부 공무원들이 LH투기 파동에 연류된 의혹이 있어 국민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6·25 남침전쟁 시 미국 현역 장성들이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을 보였던 것과 비교되는 우리사회 일부 지도층의 잘못된 행태를 보면서 안타까운 심정이 앞선다.

 


1-1.png

 

◀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프로필▶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2014~‘17년),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비서관(2013년 전역), 육군본부 정책실장(2011년 소장진급) /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 (알에이치코리아, 2016)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6120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철의 전쟁사(86)] 중공군의 계속된 공세로 유엔군사령관 4번이나 교체(하-2)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