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대령의 DMZ 종주기(14)] 이승만 대통령 휘호 ‘爲國盡忠’ 새겨진 바위 보며 세찬 비 뚫고 완주
용대 설악산림 수련관에서 출발해 진부령 거쳐 고성군 지나 거진항까지 동부전선 28㎞ 종주
이 글은 현역대령이 나이가 지긋한 아저씨 3명과 함께 배낭을 메고 DMZ를 따라 걸은 이야기다. 이들은 한 걷기 모임에서 만난 사이로 당시 전역을 앞둔 56세의 안철주 대령과 60대 1명, 70대 2명이다. 2013년 8월 파주 임진각을 출발하여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12일 동안 걸으면서 이들이 느낀 6·25 전쟁의 아픈 상처와 평화통일의 염원 그리고 아름다운 산하와 따스한 사람들에 관한 얘기를 시리즈로 연재한다. <편집자 주>
[시큐리티팩트=안철주 박사] 8월 29일, 종주를 시작한지 11일째 날이다. 오늘은 용대리의 설악산림 수련관을 출발하여 진부령 정상에 오른 후 진부리, 장신리를 거쳐 고성군 광산리, 대대리를 지나 거진항 근처 반암에 있는 행운 민박까지 걷는 여정이다. 5시경 기상하여 사발면, 선식, 우유 등으로 아침 식사를 하고 6시경 출발했다.
수련관 관리자에게 용대리 휴양림 입구까지 차를 태워 달라고 부탁했다. 최초 계획했던 오늘 여정은 이곳이 아닌 용대리 휴양림 숙박시설에서 금강산 건봉사 입구에 있는 민박집까지 약 28㎞였다. 그런데 숙소 위치가 변경돼 여기부터 걷게 되면 오늘 종주거리가 너무 길어져 무리가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차를 타고 가면서 얘기를 나누다보니 짧은 시간이 지난 것 같은데 다 왔다고 한다. 차에서 내리니 용대리 휴양림 입구가 아닌 진부령 정상이었다. 우리를 태워다준 관리자가 칠십 노구를 이끌고 걷는 단원들의 모습이 안쓰러워 걷는 거리를 줄여주려고 의도적으로 용대리 휴양림 입구를 지나쳐 정상까지 데려다 주는 호의를 베푼 것 같았다.
걸으려고 계획했던 길을 걷지 못하게 됐지만 그 분의 호의를 탓하고 싶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다시 되돌아가는 것도 아닌 듯해 진부령 정상부터 걷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곳에서 예약한 민박집까지 거리는 10여㎞ 정도에 불과했다. 불현듯 예약된 숙소를 변경하여 오늘 좀 더 걸으면 내일 부담이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예약을 취소하면 민박집에 피해를 줄 것 같아서 마음이 걸렸다. 그런데 참 묘한 상황이 전개됐다.
마침 예약된 민박집 주인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근처의 신축건물 공사장에서 일하는 일꾼 여러 명이 오늘 방을 비우기로 했었는데 공사가 지연돼 숙박을 연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박집 주인은 난감해 하면서 대신에 다른 민박집을 좋은 조건으로 소개해주겠다고 제안했다. 내가 예약을 취소하고 싶었는데 오히려 다행이었다. 나는 인심 쓰는 것처럼 괜찮다고 답한 후, 소개해준 거진항 근처의 행운 민박으로 숙소를 새로 정했다.
진부령 정상 공간은 널찍했다. 이 공간에 세워진 향로봉지구 전투 전적비에는 “맹호 수도사단 용사들은 단기 4284년(1951년) 5월 7일부터 동년 6월 9일까지 89회에 달하는 ‘괴뢰 제5군단’의 반격을 격퇴하고 설악산과 향로봉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그리고 고성군에서 운영하는 진부령 미술관도 있었다. 어떤 전시물이 있을지 궁금했지만 너무 이른 시간이라 문이 잠겨 있었다.
진부령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백두대간은 산은 산대로 계곡은 계곡대로 그 줄기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또 산봉우리를 따라 이어지는 능선도 아름다웠다. 진부령은 추가령, 대관령과 함께 영동과 영서를 잇는 3대 고갯길이다. 그중 진부령은 높이가 529m로 가장 낮은 고개다. 이러한 특성으로 영동지방에 눈이 많이 와도 진부령은 여간해서 통제되지 않았다고 한다. 옛날 보부상들이 넘던 오솔길이 1987년 왕복 2차선 도로로 확장 포장됐다.
꼬불꼬불한 진부령 길을 돌고 돌아 정상에서 약 십리 정도 내려오니 장신리 이정표가 보였다. 길가에는 커다란 돌에 ‘소똥령 마을’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마을 이름이 독특하여 근처 상점에서 잠깐 쉬며 주민으로부터 지명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장신리’라는 행정구역 명칭보다 ‘소똥령 마을’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면서 ‘소똥령 마을’로 불리게 된 두 가지 설을 들려주었다.
하나는 동쪽의 작은 고개라는 의미로 소동령(小東嶺)이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된소리로 발음하다 보니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옛날 영동지역에서 인제군 원통으로 소를 팔러 가려면 이곳에서 쉬거나 하룻밤을 묵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러다 보니 길 여기저기에 쇠똥이 있었고 그런 모습을 보고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대다수 주민들은 ‘소똥령’이라는 명칭을 더 즐겨 쓰고 있다고 한다.
조금 더 내려오니 ‘건봉사’라는 사찰의 방향을 알리는 표지판이 보였다. 건봉사는 고성군에 위치한 사찰로 금강산 줄기가 시작되는 건봉산 감로봉의 동남쪽 자락에 있어 ‘금강산 건봉사’로 불린다. 이 사찰은 신라 법흥왕 시절에 창건된 사찰로 약 1,500년이라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하지만 6·25전쟁 시 폭격으로 수백 칸에 이르던 전각이 모두 폐허가 됐고 지금은 근래에 복원한 건물만 단출하게 서있다고 했다.
고성군 광산리를 지나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친필 휘호가 새겨진 바위가 있었다. 휘호 내용은 ‘爲國盡忠’이었다. 안내판에는 ‘이승만 초대 대통령께서 6.25전쟁 당시 11사단을 지휘하는 사단장에게 ’조국을 위해 충성을 다하라‘는 뜻으로 친필을 하사했고 그 시기는 1951년 9월경이며 친필휘호의 바위 음각 시기는 하사 받은 해 봄이라고 적혀 있었다.
갑자기 사방이 어두워지면서 먹구름이 몰려들었고, 곧이어 비가 세차게 내리기 시작했다. 아스팔트 도로임에도 불구하고 금방 도랑 같은 물길이 만들어 졌다. 비를 피할 곳도 없어 비를 맞으며 계속 걸었다. 마치 뜨거운 태양이 내리쬘 때도 걷는 것처럼. 시원한 비를 맞으며 걷는 행운을 만났다고 생각하며 내리는 비를 즐기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었다.
대원들은 도로에 고여 있는 물도 아랑곳하지 않고 첨벙첨벙 걸으며 속도를 높여 걸었다. 우리는 모두 우비를 입고 두 시간도 넘게 걸었다. 비옷을 입을 때에는 겉옷이 젖을까 노심초사 했었는데 나중에는 속옷까지 모두 젖었다. 신체 모든 부위의 감각이 내리는 비의 시원함을 느낄 수 있었다. 사관학교 다닐 때 여름에 군사훈련을 받으며 이렇게 억수같이 내리는 비에 온몸을 적셨던 기억이 되살아났다.
맨몸으로 자연에 덩그러니 버려진 것 같은 상황을 경험하며 평상시 자각하지 못했던 느낌이 왔다. 그리고 우리가 더없이 약한 존재라는 사실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됐다. ‘야지에서 비를 피할 방법이 없어 어쩔 수 없이 비를 맞고 걷고 있다’는 상황을 생각하면 불쌍하고 측은한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오히려 시원함, 홀가분함 등 좋은 느낌을 느끼며 걸었다.
우리는 모두 흠뻑 젖은 상태로 오후 2시경 행운 민박에 도착했다. 비가 계속 내렸기 때문에 점심은 우동, 짬뽕, 간짜장, 탕수육을 배달시켜 먹었다. 다행히 한 단원과 동갑인 함경도 출신의 주인 아주머니가 모든 세탁물을 가져오라고 하여 세탁기로 돌려주셨다. 비가 그친 후에는 빨래 줄을 가져와서 널 수 있도록 준비해 주셨다. 한참 동안 휴식을 취했고, 비가 그친 후 우리는 동네를 한 바퀴 돌며 바다 구경도 했다.
저녁은 해변 횟집에서 회 정식으로 먹었다. 푸른 바다를 보며 시작한 만찬이었는데 주변이 깜깜해질 때 끝났다. 참으로 오랜만에 편하고 여유롭게 앉아 오래 이야기를 나누었다. 내일 약 10여 ㎞만 걸으면 여정을 마무리한다는 생각과 함께 DMZ 종주 기간에 있었던 일들로 떠올리며 편안한 마음으로 마지막 밤 잠자리에 들었다.
◀ 안철주 심리경영학 박사 프로필 ▶ 예비역 육군대령. 대한민국 걷기지도자로 100㎞ 걷기대회를 7회 완보한 ‘그랜드슬래머’이며, 스페인 순례길인 ‘까미노 데 산티아고’를 완주한 걷기 애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