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9(일)
 


x-마스_고지전투1.png
▲ 6.25남침전쟁시 치열한 고지전투를 수행하는 국군 장병들 [사진=국방홍보원]

 

[시큐리티팩트=김희철 칼럼니스트]  베티고지 전투의 영웅 김만술 소위는 앞서 방어한 소대들의 어려웠던 상황을 분석하고 ‘목의 가시’ 같은 ‘서봉’을 기습 공격할 것을 구상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금까지 국군이 매번 당하기만 했던 수동적인 입장을 뒤집어 국군의 사기를 드높이는 한편, 중공군에게 매서운 맛을 보여주기 위해 대대장에게서봉에 대한 공격을 건의하여 승인을 받았다.


■  36대 800 기적의 신화를 만든 전쟁영웅 김만술 소대


그 당시 베티고지에서 발생한 많은 사상자로 인해 병사들은 고지에 오를 때 “오늘은 몇 명이 전사할 것인가?”를 두려워하며 걱정하였고, 상급부대도 “다음에는 어느 소대를 투입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할 정도로 피해가 많아 국군의 사기는 땅에 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특무상사로서 실전 경험이 많았던 김만술 소위는 병사들에게 먼저 “아무리 치열한 포탄낙하와 격전 속에서도 침착하고 민첩하게만 행동하면 죽음을 당하지 않는다”는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를 위해 김만술 소위는 배치되자 곧바로 서봉을 기습 공격하여 적병 5명을 사살하고 8부 능선까지 진출함으로써 우선 소대원들의 사기를 올렸다.

 

이어 야간에 적의 기습공격에 대비하여 교통호의 모래를 파내는 등 진지를 보강하고, 무선과 유선을 세밀히 점검하며, 시계와 사격방향을 일일이 확인하며 만반의 방어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이런 상태에서 날이 어두워지기 시작하던 오후 7시경 중공군의 최초 야간공격을 받았다.

 

아군은 준비된 사격계획에 따라 치열하게 응사하였지만 중공군은 아군의 포화를 뚫고 교통호까지 접근하여 백병전이 시작되었다.

이때 교통호에 뛰어든 적을 김만술 소대장이 선두에서 총검으로 물리치자 공포감에 질렀던 아군 병사들이 일시에 용기를 얻어 용전분투(勇戰奮鬪)한 결과 중공군의 1차 공격을 막아냈다..

 

오후 10시즈음이 되자 중공군은 다시 베티고지 중앙봉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2개 중대 규모의 병력으로 치열한 공격을 재개하였지만, 김만술 소대원들은 상급부대의 화력지원을 받으며 수류탄 투척과 집중사격으로 중공군을 또 물리쳤다.

 

그러나 적의 사격으로 아군의 무전기가 파괴되었고 이때문에 상급부대 화력지원을 받는데 문제가 생겼다.

 

자정 즈음에 이강로 하사가 적 매복조의 사격속에서도 통신망 복구를 요청하기 위해 대대본부로 뛰어가 전황보고와 통신 연결을 시도한 노력으로 새벽 2시30분경에 통신이 개통되어 중대 및 대대와 다시 연락을 취할 수 있었다.

 

또다시 새벽 4시 경에 중국군은 베티고지와 그 좌측 지점에 각각 1개 소대 규모를 투입시켜 공격을 재개하였다. 김만술 소대는 지근거리까지 유인하여 수류탄 투척과 백병전으로 저지하였다.

 

하지만 아군 진지에 너무도 많은 적들이 소대원들과 혼재된 상태가 되자 김 소위는 중과부적으로 전세가 불리함을 판단하고 소대원을 유개호 속으로 피신시킨 후 진내사격을 요청하여 노출된 중공군을 괴멸시켰다.

 

철수했던 적은 새벽의 짙은 안개를 이용해 다시 공격을 가해오자 수류탄 투척과 백병전 그리고 진내사격을 통해 이를 또다시 격퇴하는 등 크고 작은 전투가 계속 벌어졌고 오전 7시 반에 날이 밝으면서 중국군은 완전히 퇴각했다.(다음편 계속)


태그

전체댓글 0

  • 1660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철의 전쟁사(129)] 김만술 소위의 신화, 베티고지 전투③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