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9(일)
 


베티3.png
▲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베티고지 전투 기록화와 1954년 2월21일 서울 운동장에서 유엔군사령관인 테일러 대장으로부터 미국최고 훈장인 십장훈장을 받는 김만술 소위 모습[사진=전쟁기념관/국가보훈처]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김만술 소대장이 이끄는 2소대는 18시간 반 동안 도합 증강된 대대 약 800여명의 중공군과 수류탄, 소총사격, 백병전 그리고 4차례의 포병 진내사격을 요청하며, 지옥 같은 사선(死線)에서의 혈전과 격전을 치루어 베티고지를 끝까지 사수하였다.

 

이렇게 진행된 혈투 속에 뺏고 빼앗기는 접전을 치룬 결과 6중대 2소대의 생존자는 소대장을 포함 단 12명뿐이었다.

 

7월16일, 날이 밝은 뒤 김만술 소위와 생존한 소대원들은 중앙봉과 동봉 일대에 퍼져 있는 메케한 화약 내음과 피비린내속에서 중공군의 시체와 엉켜 처절한 모습으로 쓰러져 있는 소대원들의 시신을 잡고 몸부림치며 절규했다.

 

이 때 확인된 중공군의 시체만도 350여구에 달했고 450명을 부상시켰으며 3명을 포로로 생포했다. 반면에 아군은 24명이 전사했다. 김만술 소위와 2소대원은 백병전과 진내사격 등 치열한 혈투속에서 왕성한 책임감과 감투정신으로 베티고지를 몸으로 끝까지 지켜냈다.


1953년 7월 23일에는 베티고지 전투의 유공자 포상행사가 열렸다. 적의 매복사격으로 인한 부상을 무릅쓰고 본부로 뛰어가 전황보고와 통신을 연결한 이강로 하사에게는 충무무공훈장이 수여되었다.

 

또한 각자의 역할을 다해 전투지휘했던 분대장 김순구 중사와 김흥규 중사는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김만술 소위는 2계급 특진과 함께 한국과 미국의 최고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 및 십자훈장을 수여 받았다.

 

이후 베티고지 영웅 김만술 소위는 대위로 전역했고, 그는 전투를 치룬지 28년이란 세월이 흘러간 1991년 60세로 영면하여 사랑하는 부하들의 곁으로 갔다.

 

그러나 故 김만술 소위의 2소대가 목숨을 바꿔가며 사수했던 베티고지는 1953년 7월 27일 휴전이 되면서 군사분계선(MDL) 북쪽에 포함되었다. 포연속으로 사라져간 전우들의 영령이 알았다면 통탄할 일이었다.

 

6·25남침전쟁사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치열한 혈전을 전개했던 ‘36대800의 기적 같은 승리’인 베티고지 전투의 신화는 이렇게도 아쉽게 끝을 맺었다.

 

하지만 우리 국민들은 이렇게 포연속으로 사라져간 선배전우들이 흘렸던 피의 댓가로 지금의 풍요롭고 자유로운 삶을 누리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태그

전체댓글 0

  • 5878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철의 전쟁사(130)] 김만술 소위의 신화, 베티고지 전투④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