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5(수)
 


테일러편지.png
AFAK(미군대한원조) 프로젝트를 위해 미2군수사령관 위트컴 장군과 미8군사령관 맥스웰 테일러 우드 장군이 주고받은 편지.[사진=국가기록원]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부산의 대화재 재건 프로젝트는 위트컴 장군의 지휘 아래 미8군사령관 맥스웰 테일러 우드 장군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체계적으로 진행됐다.  


위트컴 장군은 부산 재건 활동을 전담하기 위한 별도의 조직인 PMP(Pusan Military Post)를 신속히 구성했고, 관련 기관과 협력하기 위한 기구도 별도로 만들어 노력의 통합에 만전을 기했다.  


AFAK(미군대한원조) 프로젝트는 세분화하여 총 191개 사업으로 진행됐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 건설 사업은 도시 재건의 가장 중요한 분야로서 동래에 111가구의 주택단지와 영도에 109가구의 주택단지를 1954년 8월에 완공했다.  


또한 UNKRA와 협력하여 공동 사업으로 1,100채의 주택을 추가로 짓게 함으로써 부산의 주택문제를 장기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했다.  


둘째, 도로 및 교량 건설은 현대적인 교통망을 구축하고 소방 장비의 진입로를 확보하는 중요한 사업이었다. 이를 위해 국제시장을 통과하는 부민동로가 개통되었고, 메리놀 길을 완공함으로써 혼잡한 도심의 교통량을 줄이고, 메리놀 병원의 진입로를 확보하게 됐다.  


병원 건립 사업은 메리놀병원을 포함하여 7개 병원을 목표로 진행됐다. 특히 메리놀병원은 총 160개 병상을 보유한 당시 한국 최고의 병원으로 건립됐다. 병원 건립을 위한 미군들의 모금 캠페인이 있었는데 약 6만 달러가 모금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7개 학교들에 대한 신축 및 수리 사업도 진행됐다. AFAK 프로젝트는 특히 고아원 지원 사업에 역점을 두었다. 50만 명이 넘는 전쟁고아에 각별한 애정을 가졌던 위트컴은 군부대가 53개 고아원을 직접 지원하게 했으며, 기술을 가르치고 취업까지 지원했다. (다음 편 계속)


태그

전체댓글 0

  • 5637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철의 전쟁사(177)] 6·25남침전쟁후 국가재건의 선구자 위트컴 장군⑮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