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부산의 재건 과정에서 발휘된 위트컴 장군의 리더십은 마치 하나의 종합예술을 관람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한다. 도시가 폐허로 변해버린 상황에서 걱정하거나 관망하기보다는 가용한 모든 자원을 찾고, 이들을 통합하여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해결책에 집중했다.
여기에는 영국 애버데어(Aberdare)에서 성공적 대민관계와 프랑스 르앙(Rouen) 재건 및 그린랜드 공군기지 건설 등 그동안 축적된 그의 경험과 지식이 총동원됐다. 그리고 AFAK라는 해결책을 발견한 위트컴은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즉각 시행하는 추진력을 발휘했다.
미국 정부 및 미군, UN, 한국 정부 및 한국군, 민간기업 및 부산 시민 등 다양한 조직과 관련돼 있었고, 조직별 복잡한 예산체계라는 장애물도 있었다.
그러나 각 조직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고, 이들의 노력을 통합하여 빠른 시간 동안에 놀라운 성과로 연결했다.
이때 단순히 화재 피해지역에 대한 긴급공사뿐만 아니라 부산 도시계획 전반을 염두에 두고 진행된 사업이었기 때문에 참여한 ‘대양산업’ 등 많은 국내 기업들이 성장하는 토대가 되었고, 이 기업들이 국가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전후 복구를 위한 UN의 원조 방법과 한미 상호안전보장법(MSA, Mutual Security Act)에 의해 미국 정부가 직접 지원하는 방식으로 1961년까지 총 17억4천4백만 달러를 추가 지원하도록 만들었다. 이는 단순히 ‘나를 따르라’는 식의 리더십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이것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국가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국제적인 가용 요소까지도 이해하는 통찰력, 그리고 이들을 통합된 역량으로 결집하는 추진력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었고 오늘의 부산과 대한민국을 만드는 선구자 역할을 했다.
결론적으로 종합해 볼 때 위트컴 장군은 하느님이 우리 대한민국에 주신 소중한 선물이었다. (다음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