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그 특사 이준 열사의 묘적지를 삼일공고 학생들과 함께 참배하는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사진=보훈부]
[뉴스투데이=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국제보훈 교류·협력’ 등을 위해 네덜란드를 방문한 박민식 장관을 비롯한 출장단은 지난달 16일 바겐스트라트 거리에 위치한 헤이그 특사 ‘이준 열사’ 묘적지를 찾아 참배했다.
헤이그 특사 이준 열사는 1895년 서재필의 독립협회에 가담해 활동했으며, 갑오경장시 김홍집 내각이 붕괴하자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교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귀국후에는 독립협회와 지금 서울특별시 중앙우체국 앞에 있었던 상동감리교회에서 활동을 재개했다. 상동감리교회는 전덕기 목사의 부탁을 받은 국어학자 주시경 선생이 만든 우리말 문법을 가르칠 정도로 민족의식을 가진 지식인들의 공동체였다.
1902년에는 민영환의 ‘비밀 결사 개혁당’에 가담했으며, 1904년 공진회 회장을 지냈다. 공진회 활동으로 유배 생활을 한 뒤, 1905년 국민교육회 회장에 취임하고 보광학교, 오성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 계몽 운동에 힘썼다.
1907년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가 열린다는 소식을 들은 상동교회의 전덕기, 이동휘, 이회영 등은 고종의 밀사를 파견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고종에게도 신임장을 받아 특사로는 이상설, 이위종과 함께 이준이 정해졌다.
이준은 고종의 신임장을 들고 만주의 이상설, 러시아의 이위종과 차례로 합류해 헤이그로 향했다. 그러나 을사조약 체결이 일본의 강제에 의한 것이었음을 폭로하려 했던 계획은 영일 동맹으로 일본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던 영국의 방해로 뜻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고종이 폐위되고 순종이 즉위했으며, 이준은 헤이그의 숙소에서 순국했다.
당시 네덜란드 유력 일간지 ‘헤트·화데란트’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잔인한 탄압에 항거하기 위해 이상설, 이위종과 같이 온 특사 이준씨가 어제 숨을 거두었다. 일본의 영향으로, 그는 이미 지난 수일동안 병환중에 있다가 바겐슈트라트에 있는 호텔에서 사망했다”라고 보도했다.
오랫동안 이준이 할복 자결을 한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국사편찬위원회는 1962년 할복 자결 아닌 병사 쪽으로 판단했다. 이는 당시 일제의 한민족 억압에 대한 반일적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준이 영웅화되면서 할복 자결설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 받았으며, 유해는 본래 헤이그에 묻혀 있다가 1963년 봉환됐다. 서울 장충단 공원에 동상이 세워져 있고, 헤이그에는 이준 열사를 기념하는 이준 열사 기념교회(감리교)가 건립되어 있다.(다음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