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0(월)
 


청원대대장6.png
국방일보에 게재된 전술토의 기사 내용과 토의자료 초안 표지 [사진=김희철]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그 와중에 대전에 위치한 BCTP단으로 열흘 동안 파견되어 사단 BCTP(전투지휘훈련) 워게임요원으로 사단이 우수평가를 받는데 기여했다. 


복귀하자마자 다시 연대본부로 합류하여 ‘공군기지 방어 전술토의’ 준비를 했다. 사실은 연대 참모들이 중심이 되어 연대장을 보좌하며 준비하고 있었지만 아무래도 연대 참모들보다 하루라도 더 많이 작전분야에 근무했고 책임지역내에 비행장 경계를 담당하는 예하부대 대대장이었던 필자의 도움이 필요했었다.  


결국 상급부대에 준비된 토의 계획의 보고와 실제 전술토의 전날은 연대본부에서 밤을 꼬박 새웠다. 


사단장과 군사령부에 성공적으로 계획보고를 마친 연대장은 탁월한 지휘기법의 소유자였다. 연대장은 함께 며칠밤을 설쳐가면서 준비했던 까닭에 필자는 인정받음을 느끼게 했다. 또 칭찬을 아끼지 않는 연대장의 믿음에 송구스럽기까지 했고 더욱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만들었다. 


BCTP(전투지휘훈련) 워게임요원 파견의 피로도 가시전에 투입되어 연대장이 발표하며 진행하는 전술토의의 리허설까지 했으나, 2군사령관의 일정상 몇 번이나 연기되어 짜증과 스트레스가 쌓여갔다. 그러나 대성공이었다. 


공군 비행단장은 전술토의(3월22일)를 통해 개전초기 북한군의 공격양상을 재평가하고 공군의 자체 병력만으로 기지방어가 어렵다는 것을 확신하며 군사령관의 지침에 따라 육군부대의 지원받는 실질적인 합동작전을 수용했다. 


또한 후방지역에서 전략적인 작전 수행에 기여하기 위해서 육군부대는 다소 위험이 잔존하더라도 우선적으로 공군기지 방어에 전투력을 집중하여 북한의 초전 공격에 대비하며 우리의 공군력을 보존시켜야 됨을 확실하게 인식했다. 


이로써 창군이래 전통을 이어오는 대표적인 전략가로 평가받는 제2군사령관 조성태(육사20기) 대장의 구상이 구현되어 육군 및 공군의 작전 계획을 변경했고, 한반도 내의 전 공군기지에 적용하도록 대통령 훈령도 수정하는 계기가 되었다.(다음편 계속)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9923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 사용설명서(425] 대대장 취임후 첫 히트작인 군사령부 전술토의(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