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 부하들을 잘 먹여라(食). 잘 입혀라(衣). 잘 재워라(住). 교육훈련 철저히 하라. 근심걱정 해결해 주라
댓글 0
기사입력 : 2024.07.26 13:03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한신 장군의 본명은 원극(元極)으로 함경남도 영흥에서 3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나 함흥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변호사가 될 뜻을 품고 일본 주오대학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태평양전쟁에서 패색이 짙어진 일본이 학병제도를 만들어 학생들을 전쟁터로 보내기 시작하자 학병을 기피할 생각으로 학업을 포기하고 귀국하였다.
그러나 한국에서도 일제 당국의 강압에 못이겨 1944년에 사병으로 입대했으며, 곧 간부후보생이 되어 견습사관중에 광복을 맞아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후 북한 김일성의 공산당 독재정권에 실망하여 1946년 함경남도 영흥에서부터 단신으로 월남한 뒤, 이름을 신(信)으로 바꾸고 국군 사병으로 입대했다가 육군사관학교(경비사관학교) 제2기(박정희 대통령 동기)로 입교하여 육군소위로 임관했다.
강원도 춘천에 있는 제8연대에서 소대장 및 중대장 겸무로 군대생활을 시작하여 조선경비대 군기사령부의 행정관을 지냈으며, 대대장으로 옹진전투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6.25남침전쟁이 발발하자 수도사단 1연대장을 맡아 의정부전투를 시작으로 한강 방어선, 진천, 안강, 기계, 대관령전투를 비롯해 38선 북진작전 등 수많은 격전지를 누비며 백절불굴(百折不屈)의 승리하는 지휘관으로 명성을 떨쳤다.
특히 낙동강 최후 방어선의 요충지였던 안강,기계 지역에서 철수 명령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진지를 사수하며 북한군 12사단의 공세를 저지함으로써 국군의 방어선 유지와 반격작전 여건 조성에 결정적인 공도 세웠다.
1·4후퇴이후 중공군 춘계공세시 대관령전투에서는 연대 단독으로 이틀간의 사투끝에 중공군 1개 사단의 남하를 저지해 전세를 역전시켜 반격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전쟁이 끝난 뒤에는 호남지구에서 공비소탕작전을 수행했고, 1953년 말에 육군준장으로 진급하여 1954년에는 첩보부대장을 시작으로 육본 수송감, 수도사단장, 감찰감을 역임하던 중에 육군소장으로 승진하였고, 1960년에 제2훈련 소장이 되었다.
1961년 5·16군사정변이 일어나자 국가재건최고회의 위원으로서 내무부장관이 되었으며, 1963년에 잠시 감사원장을 맡기도 하였으나 그해 군대로 복귀하여 6군단장에 보임되었으며, 1966년에 육군중장으로 진급하여 육군전투병과 사령관, 1968년 육군참모장과 제2군사령관을 1969년에는 제1군사령관직을 맡았다.
1970년 제1군사령관 재직시 육군대장으로 승진했고, 1972년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부임했으며 오늘 죽어도 책임을 다한다는 의미의 "일일 일생"을 좌우명으로 국가와 군 발전을 위해 헌신해 온 그는 1975년 육군대장으로 예편했다. 합참의장 재직시 국군 현대화 계획을 입안하여 자주국방의 기초를 세우는 업적도 남겼다.
또한 솔직 담백한 성품을 지닌 청렴결백(淸廉潔白)한 군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군대의 제반 여건이 좋지 않던 시절에 강조했던 “부하들을 잘 먹여라(食). 잘 입혀라(衣). 잘 재워라(住). 교육훈련을 철저히 하라. 근심걱정을 해결해 주라”는 유명한 지휘방침처럼 군의 교육·훈련과 부하복지에 많은 신경을 써 전우애를 돈독하게 만들며 존경도 받았다.
전역 후에는 아세아자동차주식회사와 대한중석광업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생전에 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보국훈장 천수장 등 많은 상훈을 받았으며 1996년 5월6일 향년 76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당시 청렴하며 솔직 담백한 성품으로 자주국방을 위해 많은 업적을 남긴 한신 장군을 존경했던 대부분 후배장교들이 한 장군의 영면을 매우 안타까워했다.
특히 필자의 장인은 한신 장군처럼 이북에서 김일성의 공산당 독재정권에 실망하여 단신으로 월남해 6.25남침전쟁을 겪으며 군생활을 했는데 그동안에 각별한 신뢰와 사랑을 아끼지 않고 보내주셨다며 눈물을 적셨다.
대대장직을 수행하던 필자도 강직한 참군인 한 장군의 삶을 보면서 롤모델로 삼아 한신 장군처럼 교육·훈련과 부하복지에 많은 신경을 써 전우애를 돈독하게 만들며 군생활을 바르게 하자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