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우 육군총장·박종진 1군사령관 등이 합참의장에 거론
육사출신 안배하면 김용우 총장이 유력
[시큐리티팩트=김한경 총괄 에디터] 국방부 장관에 내정된 정경두 합참의장의 후임 인선을 필두로 군 대장급 인사가 곧 단행될 전망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30일 "후속 대장급 인사가 곧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후임 합참의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대장급 인사의 구도가 달라진다. 합참의장은 국회 인사청문회 대상으로 군 서열상 최고 직위이며, 육·해·공군참모총장(이하 대장) 또는 육군 대장 중에서 맡아왔다.
군 내부에선 후임 합참의장에 육군이 발탁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왕근(공사 31기) 공군총장도 대상자에 포함될 수 있지만 공군 출신이 국방부 장관에 발탁된 이상 어려울 것이고, 심승섭 해군총장은 지난달 임명됐기 때문이다.
육군이 발탁될 경우 육사 출신이냐 비육사 출신이냐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육사 출신이 발탁될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면서도 이번에는 육사 출신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방부 장관을 해군과 공군 출신이 번갈아 맡게 되면서 상대적 박탈감이 큰 육사 출신을 배려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런 구도로 볼 때 김용우(육사 39기) 육군총장이 후임 합참의장으로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 국방부와 합참에서 다양한 직책 경험한 게 김용우 총장의 장점
일각에서는 장관 내정자가 이임하는 송영무 장관보다 국방개혁에 정통하지 않아 합참의장은 국방부와 합참에서 다양한 직책을 경험한 김용우 총장 같은 사람이 적임자란 말도 나온다.
작년 8월 육군총장에 오른 김용우 대장은 전남 장성 출신으로 전략적 안목을 갖춘 국방정책 전문가로 부임 후 '워리어플랫폼' 보급과 '드론봇' 전투단 창설에 매진해 왔다.
33종의 전투피복과 전투장비로 구성되는 신개념 개인첨단전투체계인 '워리어플랫폼'과 드론과 로봇의 합성어인 '드론봇' 전투단 창설은 미래전에 본격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김 총장의 구상으로 국방개혁 2.0에도 반영되어 있다.
한편, 비육사 출신이 발탁된다면 박종진(3사17기) 1군사령관의 가능성도 거론된다. 박 사령관은 3사17기로 육사 기수로 치자면 38기에 해당해 김 총장보다 1년 선임이다. 충남 서산 출신으로 사단장, 군단장 등 야전에서 잔뼈가 굵은 인사로 통한다.
하지만 공사 30기인 정경두 국방부 장관 내정자와 동기뻘인데다, 전시작전권 조기 전환이라는 중차대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시기에 정책부서 경험이 없는 야전형 인사를 발탁하기는 어려워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육군총장 대상자로 박한기(학군 21기) 제2작전사령관과 김병주(육사 40기)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그리고 김운용 3군사령관(육사 40기)이 하마평에 오른다.
■ 박한기 제2작전사령관이 육참총장 발탁되면 학군 출신 최초
김용우 육군총장이 합참의장에 발탁될 경우 육군총장은 최초로 비육사 출신인 박한기(학군 21기) 제2작전사령관이 임명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과거 학군 출신인 김진호 대장이 최초로 합참의장에 발탁된 적은 있지만 육군총장은 전례가 없다.
만약 박한기 사령관이 후임 총장으로 지명되면 비육사 출신 첫 육군총장으로 기록된다. 육군총장은 육사 1기인 19대 서종철 전 총장부터 지금까지 육사 출신이 임명됐고, 서 전 총장 이전에는 창군 주역이었던 군사영어학교 출신들이 주로 육군총장을 맡았다.
군 관계자들도 이번에 처음으로 비육사 출신 육군총장이 나올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비육사 출신 육군총장이 탄생하면 육군 인사행정 체계 등에서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군사령관이 육군총장으로 이동하면 후임 군사령관 대상으로는 군단장급 육사 41기 출신들이 유력하다. 서욱(육사 41기) 합참 작전본부장, 김성진(학군 22기) 국군의 날 기념행사 추진단장 등이 거명된다.

ⓒ 시큐리티팩트 & www.securityfac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